2025년 국가공인 민간자격 수화통역사 실기시험 기출 문제

안녕하세요, 2025년 10월 18일(토요일) 제21회 국가공인 민간자격 수화통역사 실기 시험이 있었습니다. 응시생 선생님들의 자료를 모아 실기시험을 복기해보았어요. 응시하신 분들의 기억을 더듬어 정리한 자료이니, 참고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합격자 발표는 11월 14일(금요일) 오전 11시 예정입니다. (다들 합격 하실 거예요!!)   2024년 국가공인민간자격수화통역사 실기시험 기출 문제   1교시 필기통역 <장문> (마라톤) 건강을 위한 러닝 국내 러닝이 취미인 인구가 … 더 읽기

2024년 국가공인민간자격수화통역사 실기시험 기출 문제

2024년 수어통역사 실기시험 기출 문제     2024년 국가공인수화통역사 필기시험 기출문제   필기통역 단문 1. 국가를 구성하는 3요소는 영토, 주권, 사람이다. 2.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의 싱크홀 발생건수는 총 000건이나 된다. 3. 정부는 신축건물 지하주차장에 습식 스피링쿨러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하였다. 4. 요즘 많은 비트코인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시세의 급등락에 걱정이 되어 밤잠을 설친다. 5. 우라나라 65세 이상 … 더 읽기

2024년 수어통역사 필기시험 기출문제

2024년 수어통역사 필기시험 기출문제   2024년 국가공인수화통역사 실기시험 기출문제   한국어의 이해 1. 24절기 틀린 것 ① 봄-곡우  ② 여름-소서  ③ 가을-백로  ④ 겨울-망종​ 2. 외래어 표기법 맞는것 ① 플룻  ② 스카우트  ③ 테입 ④ 로보 3. 맞춤법 틀린것 ① 숫쥐   ② 수놈  ③ 수퇘지  ④ 수코양이 4. 보기글에서 틀린 어휘 ① 진의  ② 난입  ③ 담합  ④ 운집​ 5. 내(남자) 여동생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많을 때 부르는 호칭? ① 매제  ② 매부  ③ 자부  … 더 읽기

수어통역사 하는 일, 근로지원인 수어통역사, 수화통역사 연봉, 월급

수어통역사, 근로지원인 하는 일, 연봉은?   수어통역사(수화통역사)는 농인(청각장애인)과 청인(비장애인)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원할 하게 돕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수어통역사는 수어통역센터 소속, 청각장애인 근로지원인 수어통역사, 병원이나 공공기관 소속의 수어통역사, 프리랜서 수어통역사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수어통역센터 소속의 수어통역사와 근로지원인 수어통역사에 대하여 알려드릴게요.   수어통역센터 업무 수어통역 – 통역 및 업무일지 – 행사, 농인 개인 등 수어통역을 나가게 되면 업무일지와는 … 더 읽기

국제수화, 수어는 세계공통인가요? N0, 세계농아인연맹

  수어는 세계공용어인가요? 국제수화? 한국수화?, 수어(수화)는 세계 공통인가요? 아닙니다. 수어는 한국수어, 미국수어, 일본수어처럼 나라마다 다릅니다. 전 세계 수어사용자들은 의사소통을 위해 국제 수화를 몇 가지 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나라와 문화 사이에는 고유한 수어 시스템이 존재하며 이는 해당 지역의 수행 체계, 언어 및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한국수어는 한국에서 사용되는 수화언어이고, 미국 수어는 미국에서 사용되는 수화 … 더 읽기

농인, 농아인, 농정체성, 농문화, 농사회

농인, 농아인, 농정체성, 농문화, 농사회는 무엇일까요? 농인은 보이는 언어, 수어(수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농인, 농아인은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와 사회를 형성합니다. 농인, 농아인이란? 농인, 농아인이란, 청각에 장애가 있어 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 주로 수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한국에서의 농인은 의학적 관점에서 ‘청각장애인’, 문화-언어학적 관점에서 ‘농인, 농아인’이라고 말합니다. ‘청각장애인’은 ‘듣는 사람-청인’ 사회에서 그들을 대상화 한 것입니다. … 더 읽기

전국 수어통역센터 연락처, 하는 일, 역할 안내 17nsl

전국 수어통역센터 연락처, 하는 일 수어통역센터는 전국 17개 시도 약 200개의센터가 운영 중입니다. 수어통역센터는 장애인복지법 제58조제2항에 따른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로 의사소통에 지장이 있는 청각ㆍ언어장애인에 대한 수어통역 및 상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수어통역사는 청각ㆍ언어장애인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각별히 노력해야 합니다. 수어통역센터의 역할 수어통역센터는 청각ㆍ언어장애인의 상담 및 사후 관리, 각종 민원 통역, 가족문제 … 더 읽기

수어, 수화, 수어(수화)통역의 필요성, 한국수화언어법(2016.02.03.제정), 수어통역사

수어(수화), 수어의 필요성, 한국수화언어법, 수어통역사 수어통역사 연봉, 하는 일, 근로지원인   소리가 모든 의사소통의 시작이라고 생각하는 우리 사회에서, 소리 없이 소통하는 사람들의 언어가 무엇일까요? 그 정답은 수어입니다. 청각장애인, 일반적으로 ‘농인’이라 불리는 이들은 소리를 듣지 못하지만, 소리 없이 손과 몸을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수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합니다. 청각장애인의 언어인 수어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수화언어법의 중요성과 함께 수어통역의 필요성을 다뤄보겠습니다. … 더 읽기